러시아 육군

덤프버전 : (♥ 0)





러시아 연방 지상군
Сухопутные войск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(СВ)[1]
Ground Forces of the Russian Federation
파일:러시아 육군 휘장.svg
러시아 육군 엠블럼
파일:러시아 육군기.svg
러시아 육군기
창설년도 1992년 5월 7일
기념일 10월 1일(지상군의 날)
국가 파일:러시아 국기.svg 러시아
명령체계 파일:러시아 연방 국방부 휘장.svg 러시아 국방부
파일:러시아 총참모부.png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
소속 파일:러시아 연방군기.svg 러시아군
군종 육군
전력 280,000명(2021년)
본부 러시아 모스크바 중앙부 하모브니키 자치구
프룬젠스카야 강변도로(모스크바 강)
색상 회색, 검정색, 블루색
행진곡 <Вперед, пехота!>
전진하라, 보병!
전신 파일:소련 국기.svg 소비에트 연방 파일:800px_Soviet Army-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.png소비에트 육군
참전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
타지키스탄 내전
제1차 체첸 전쟁
다게스탄 전쟁
제2차 체첸 전쟁
남오세티야 전쟁
북캅카스 반란 진압
크림 위기
돈바스 전쟁
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
지휘
총사령관 파일:러시아 육군총사령관기.svg 올레그 살류코프 대장
러시아 육군 홈페이지(러시아어)
1. 개요
2. 러시아 육군 총 사령관
2.1. 역대 총사령관
3. 육군 편제
3.1. 서부 군구(Запад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)
3.1.1. 파일:제1근위전차군 엠블럼.svg 제1근위전차군(2014년 재창설 / 오딘초보)[2]
3.1.2. 파일: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곰 마킹.svg 제3군단(2022년 창설 / 니즈니노브고로드)
3.1.3. 제6제병연합군(상트페테르부르크)
3.1.4. 제20근위제병연합군(보로네시)
3.2. 남부 군구(Юж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г)
3.2.1. 제49제병연합군(스타브로폴)
3.2.3. 제8근위제병협동군(2017년 재창설 / 노보체르카스크)[3]
3.3. 중부 군구(Централь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г)
3.3.1. 제2근위제병연합군(사마라)
3.3.2. 제41제병연합군(노보시비르스크)
3.4. 동부 군구(Восточ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г)
3.4.1. 본부에서 직접 지휘하는 부대들(군 직할대)
3.4.2. 제29제병연합군(치타)
3.4.3. 제35제병연합군(벨로고르스크)[4]
3.4.4. 제36제병연합군(울란우데)
3.4.5. 제5제병연합군(우수리스크)
3.5. 북부 군구(Север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г)
3.5.1. 제14군단(무르만스크)
4. 육군 규모
5. 장비
5.1. 기갑
6. 관련 문서
7. 둘러보기


Стоим мы на посту, повзводна и поротно

Бессмертный как огонь, спокойны как гранит.

Мы - армия страны, мы - армия народа

Великий подвиг наш история хранит!

불같이 불멸하고, 돌처럼 평온한 우리.

각 소대와 중대마다, 초소에 서 있다.

우리는 나라의 군대, 인민의 군대이다.

우리의 위대한 업적을 역사가 보우한다!

Не зра в судьбе алеет знамя.

Не зря на нас надеется страна.

Священная слова: «Москва за нами!»

Мы помним со времён Бородина!

깃발이 괜히 운명 속에서 붉은 게 아니다.

조국이 괜히 우리를 기대하는 게 아니다.

숭고한 그 말: “모스크바가 우리 뒤에 있다!”

우리는 보로디노 시절부터 기억하고 있다!

러시아 육군의 대표 군가 “우리는 인민의 군대” 중 1절




1. 개요[편집]


러시아 육군은 러시아군의 육군이다. 그러나 과거 소련 육군 시절보다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게다가 소련 육군 시절부터 문제였던 부족한 보급력은 아직도 해결이 안 된 상황. 그래서 러시아 육군은 장갑차를 비롯한 기계화부대와 공수부대를 주력으로 빠른 전개가 특기이다.


2. 러시아 육군 총 사령관[편집]


파일:러시아 육군 휘장.svg러시아 육군 총사령관
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й сухопутными войскам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
성명 올레ㅣ그 레오니도비치 살류코프(Оле́г Леони́дович Салюко́в)
생년월일 1955년 5월 21일
출생지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SFSR 사라토프
국적 파일:소련 국기.svg 소련파일:러시아 국기.svg 러시아
군복무
국가 파일:소련 국기.svg 소련파일:러시아 국기.svg 러시아
복무기간 1973년 ~ 현재
근무 파일:800px_Soviet Army-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.png 소련 육군파일:러시아 육군기.svg 러시아 육군
최종계급 파일:external/upload.wikimedia.org/RAF_A_F9GenArmy_after2013.png대장[진]


2.1. 역대 총사령관[편집]


러시아 육군 총 사령관
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й сухопутными войскам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
성명생년월일임기계급이후
제 1대블라디미르 마고메도비치 세묘노프
Влади́мир Магоме́дович Семёнов
1940년 6월 8일1992년 8월~1997년대장1998년 6월 국방부 수석군사고문역임
2004년 군전역
제 2대니콜라이 빅토로비치 코르밀체프
Никола́й Ви́кторович Корми́льцев
1953년 3월 14일2001년 3월 28일~2004년 10월대장2004년 군전역
제 3대알렉세이 표도로비치 마슬로프
Алексе́й Фёдорович Ма́слов
1953년 9월 23일2004년 11월 5일~2008년 7월 31일대장2008년 8월 NATO의 러시아 최고군사대표
2011년 군전역
제 4대블라디미르 아나톨리예비치 볼디레프
Влади́мир Анато́льевич Бо́лдырев
1949년 1월 5일2008년 7월 31일~2010년 1월대장2010년 군전역
제 5대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포스트니코프
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Постников
1957년 3월 23일2010년 1월 11알~2012년 4월 26일상장2012년 4월 러시아군 참모부 부참모장
2013년 해임후 군전역
제 6대블라디미르 발렌티노비치 치르킨
Влади́мир Валенти́нович Чи́ркин
1955년 10월 12일2012년 4월 26일~2013년 12월 2일상장2008년 뇌물수수협의로 기소되어 직위박탈
2013년 군전역
제 7대올레크 레오니도비치 살류코프
Оле́г Леони́дович Салюко́в
1955년 5월 21일2014년 5월 2일~현직대장2019년에 대장으로 진급하였다.
지상군의 총 사령관은 러시아 육군의 최고 직위이며 이 직위는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이후 소비에트 지상군이 러시아 지상군으로 승계했다.이 직위는 러시아 대통령이 임명하며, 소비에트 육군에서 러시아 육군 총 사령관이라는 직책은 1946년, 1955년, 1967년에 각각 도입되었다. 소련과 러시아 육군의 총 사령관은 임시로 역임한 사람은 표시되지 않는다. 1992년 부터 이 직위는 러시아 육군 총 사령관이라 불리었다.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육군 총 사령관인 동시에 러시아 국방부 차관을 역임했다.


3. 육군 편제[편집]


육군 총 사령관 : 올레크 살류코프(Олег Салюков) 대장(2014년 5월 2일~현임)휘하부대도 러시아 육군에 속한다.
  • 기관총부대 / 기관총-포병부대[5]
  • 전차부대
  • 미사일과 포병부대[6]
  • 육군 방공부대
  • 특수부대

군구군구본부군대/군본부
서부 군관구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:제1근위전차군 엠블럼.svg제1근위전차군/오딘초보
제3군단/니즈니노브고로드
제6제병협동군/상트페테르부르크
제20근위제병협동군/보로네시
제11군단/칼리닌그라드
남부 군관구로스토프나도누제8근위제병협동군/노보체르카스크
제49제병연합군/스타브로폴
제58근위제병협동군/블라디캅카스
중앙 군관구예카테린부르크제2근위전차군/사마라
제41제병협동군/노보시비르스크
동부 군관구하바롭스크제5제병연합군/우수리스크
제29제병협동군/치타
제35제병협동군/벨로고르스크
제36제병협동군/울란우데
제68군단/유즈노사할린스크[10]
북부 군관구세베로모르스크제14군단/무르만스크

2022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제1근위전차군(오딘초보), 제8근위제병연합군(노보체르카스크), 제49제병연합군(스타브로폴), 제2근위제병연합군(사마라), 제29제병연합군(치타)의 군단장들이 전사하였다. 러시아 육군의 총 14개 군단 중 5명의 군단장이 전사하였다.

러시아 육군의 병력은 28만명으로 14개의 군단이면 1개 군단이 평균 2만명의 병력들을 예하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.

3.1. 서부 군구(Запад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)[편집]



  • 러시아군 작전 그룹(티라스폴, 몰도바 공화국 트란스니스트리아)
    • 제82차량화소총병대대
    • 제113차량화소총병대대
    • 제540사령부대대

  • 제1사령부여단(세르톨로보, 레닌그라드 주)

  • 제45근위베를린공병여단(무롬)(우크라이나 전쟁 중 제45 근위공병여단의 여단장 니콜라이 오브차렌코 대령 전사. Colonel Nikolai Ovcharenko †)

  • 제29철도여단(브랸스크)

  • 제34철도여단(야로슬라프)

  • 제38철도여단(러시아 철도 부대)

  • 제1공병여단(무롬)

  • 제27NBC여단

  • 제79근위로켓포병여단(트베르)

  • 제45고력포병여단(탐보프)

  • 제15전자전여단(스트로이텔)

  • 제16EW여단(플랍스크)

  • 제146특수무선공병여단(버그리)

  • 제45독립공병위장연대(블라디미르)

3.1.1. 파일:제1근위전차군 엠블럼.svg 제1근위전차군(2014년 재창설 / 오딘초보)[11][편집]


파일:제1근위전차군 엠블럼.svg

  • 제2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 "타만스카야"(나로포민스크, 모스크바 주)

  • 제4근위전차사단 "칸테미로프스카야"(나로포민스크, 모스크바 주)

  • 제4근위전차사단 본부 직속 직할대(나로포민스크) (지휘관: 대령 올렉 투리노프)

  • 제137정찰대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165의료대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413통신대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330공병대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1088군수대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12근위전차연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13근위전차연대(나로포민스크)[12]

  • 제423차량화소총병연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275자주포연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538근위방공미사일연대(나로포민스크)

  • 제27근위독립차량화소총병여단 "세바스토폴스카야"(모스렌트겐)

  • 제47근위전차사단(물리노)

  • 제112독립미사일여단(슈야)

  • 제288포병여단

  • 제53방공미사일여단(쿠르스크)

  • 제96정찰여단

  • 제20독립NBC연대

  • 제60통제여단

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중 2022년 3월 26일 제1근위전차군의 군단장이자, 사령관인 세르게이 키젤 중장이 해임됐다.(Lieutenant General Sergei Kisel)#


3.1.2. 파일: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곰 마킹.svg 제3군단(2022년 창설 / 니즈니노브고로드)[편집]


파일: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곰 마킹.svg

  • 물리노 의용대대

  • 제6차량화소총병사단

  • 제10전차연대

  • 제54차량화소총병연대

  • 제55차량화소총병연대

  • 제56차량화소총병연대

  • 제72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17중포병여단

  • 제27포병연대

  • 제52방공로켓사단

  • 제148지휘및정보센터

  • 제138공병대대

  • 제8관리대대

  • 제154수리복원대대

  • 제9스페츠나츠중대

  • 제8화생방중대

3.1.3. 제6제병연합군(상트페테르부르크)[편집]


  • 제25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138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9근위포병여단

  • 제268근위포병여단

  • 제5방공미사일여단

  • 제26미사일여단

3.1.4. 제20근위제병연합군(보로네시)[편집]


  • 제3차량화소총병사단(2016년 재창설)

  • 제144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(2016년 재창설)

  • 제1독립근위전차여단(2015년 "제10근위전차사단"으로부터 재창설)

  • 제236포병여단

  • 제99무기물자저장고기지

  • 제7015무기물자저장고기지

  • 제53방공미사일여단

  • 제448미사일여단

  • 제152군수지원여단(리스키)

  • 제9근위사령부여단(보로네시)

  • 제82독립무선공병특수목적여단

3.1.5. 제11군단(칼리닌그라드)[편집]



  • 군단 본부(구세프)
  • 제18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(구세프 및 소베츠크, 칼리닌그라드 주)
  • 제244포병여단(칼리닌그라드)
  • 제152근위로켓여단(체르냐홉스크)
  • 제7근위차량화소총병연대(칼리닌그라드)
  • 제22독립근위대공미사일연대(칼리닌그라드)
  • 제46독립정찰대대(구세프)
  • 제40독립사령부대대(구세프)

3.2. 남부 군구(Юж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г)[편집]


[ 펼치기 · 접기 ]


||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100%><tablebgcolor=#fff><width=33.3%> 파일:제58근위제병협동군 엠블럼.svg ||<width=33.3%> 파일:제8근위제병협동군 엠블럼.svg ||<width=33.3%> 파일:제7근위산악공수사단 엠블럼.svg ||
||<height=50><rowbgcolor=#fff,#010101> 제58근위제병협동군 || 제8근위제병협동군 || 제7근위산악공수사단 ||
||<width=33.3%> 파일:제49제병합동군 엠블럼.svg ||<width=33.3%> 파일:흑해함대 엠블럼.svg ||<width=33.3%> 파일:카스피해 전단 엠블럼.svg ||
||<height=50><rowbgcolor=#fff,#010101> 제49제병합동군 || 흑해함대 || 카스피해 전단 ||
||<-3>||






3.2.1. 제49제병연합군(스타브로폴)[편집]


  • 제205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34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66C3여단

  • 제227포병여단

  • 제1근위로켓여단

  • 제439근위다연장로켓여단

  • 제21NBC여단

  • 제175C3여단

  • 제176통신여단

  • 제154전자전여단

  • 물류지원여단 기지

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제49제병연합군 군단장, 사령관인 야코프 레잔체프 중장이 전사했다.

3.2.2. 제58근위제병협동군(블라디캅카스)[편집]


  • 제19차량화소총병사단

  • 제42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(2009년 해체 -> 2016년 재창설)

  • 제136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12로켓여단

  • 제291포병여단

  • 제67방공로켓여단

  • 제100정찰여단

  • 제4근위군사기지(남오셰티아 츠한빌리-자바 주둔/파병 기지대)

  • 제31공병연대

  • 제34본부여단

  • 제40화생방연대

  • 제78군수지원여단

  • 제14전자전대대

3.2.3. 제8근위제병협동군(2017년 재창설 / 노보체르카스크)[13][편집]


직할대


  • 제76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73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988방공연대

  • 제150차량화소총병사단 "이드리츠카야"(2016년 재창설)(노보체르카스크)[14]
    • 제103차량화소총병연대(카다모프스키 및 쿠즈민카, 로스토프 주)
    • 제163전차연대(쿠즈민카, 로스토프 주)
    • 제102차량화소총병연대(페르시아노프스키, 로스토프 주)
    • 제68전차연대(페르시아노프스키, 로스토프 주)
    • 제174정찰대대(페르시아노프스키, 로스토프 주)
    • 제381포병연대(페르시아노프스키 및 밀레로보, 로스토프 주)
    • 제933방공미사일연대(밀레로보)

  • 제20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(볼고그라드와 카미쉰 지역에 위치, 현재 여단장 알렉세이 고로베츠)
    • 제242근위차량화소총병연대(카미쉰, 볼고그라드 주)
    • 제255차량화소총병연대(볼고그라드)
    • 제33차랑화소총병연대(카미쉰)[15]
    • 제944근위자주포포대연대
    • 제358근위방공미사일연대
    • 제428독립전차대대(볼고그라드 근처, T-90M 전차들로 재편성 예정)
    • 제487독립대전차포대대대

  • 제464로켓여단

  • 제47미사일여단(코레노프스크, 크라스노다르 크라이, 2021년 창설, Iskander 지대지 미사일 장착)

  • 제238포병여단(코레노프스크, 크라스노다르 크라이, 2021년 창설, 2A65 Msta-B 함포 및 9K57 Uragan 다중 발사 로켓 시스템 장착

  • 제77대공미사일여단(코레노프스크, S-300V4 대공미사일 시스템 탑재) -> Buk-M3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2021~22년에 추가 SAM 여단이 결성된 것으로 보고됨.

  • 제1도네츠크군단
    • 4개 차량화소총병여단(제1, 3, 5, 100차량화소총병여단)
    • 2개 차량화소총연대(제9 및 제11차량화소총연대)
    • 2개 특수전대대(제1, 3특수전대대)
    • 1개 전차대대(2대대)
    • 1개 정찰대대(스파르타 독립정찰대대)
    • 1개 포병여단(칼미우스 포병여단)

  • 제2근위루간스크-세베로도네츠크군단
    • 3개 차량화소총병여단(제2, 4, 7차량화소총병여단)
    • 1개 차량화소총연대(제6차량화소총연대)
    • 1개 전차대대 (바지르 특수기계화부대)
    • 1개 정찰대대(그레카 독립정찰대대)
    • 1개 포병여단

2022년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제8근위제병연합군 군단장이자, 사령관인 안드레이 모르드비체프 중장이 전사했다. Lieutenant General Andrey Nikolayevich Mordvichev †(1976. 1. 14.~2022. 3. 16)

3.3. 중부 군구(Централь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г)[편집]


[ 펼치기 · 접기 ]


||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100%><tablebgcolor=#fff><width=33.3%> 파일:제2근위전차군 엠블럼.svg ||<width=33.3%> 파일:제41제병협동군 엠블럼.svg ||<width=33.3%> 파일:제15근위차량화소총여단 엠블럼.svg ||
||<height=50><rowbgcolor=#fff,#010101> 제2근위전차군 || 제41제병협동군 || 제15근위차량화소총여단 ||
||<width=33.3%> 파일:제90근위전차사단 엠블럼.svg ||<width=33.3%> 파일:제201군사기지 엠블럼.svg ||<width=33.3%> 파일:제242훈련센터 엠블럼.svg ||
||<height=50><rowbgcolor=#fff,#010101> 제90근위전차사단 || 제201군사기지 || 제242공수군훈련소 ||
||<-3>||




3.3.1. 제2근위제병연합군(사마라)[편집]



  • 제15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21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30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92로켓여단

  • 제385근위포병여단

  • 제950로켓포병연대

  • 제297방공로켓여단

  • 제2NBC연대

  • 제53전자전대대

사령관인 안드레이 시모노프 소장이 2022년 4월 30일 전사했다.

3.3.2. 제41제병연합군(노보시비르스크)[편집]


  • 제35독립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55산악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74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119로켓여단

  • 제120근위포병여단

  • 제61방공로켓여단

  • 제106독립군수여단

  • 제10독립화생방연대

  • 제90근위전차사단(제6차량화소총병사단으로부터 2016년, 재창설)
    • 제26독립의무대대
    • 제30독립정찰대대
    • 제33독립통신대대
    • 제351독립공병대대
    • 제1122독립보급대대
    • 제6근위리보프전차연대
    • 제80근위전차연대
    • 제239근위전차연대[16]
    • 제228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
    • 제232근위로켓포병여단
    • 제400근위트란실바니아자주포병연대
    • 방공연대


  • 제3근위스페츠나츠여단
    • 여단본부
      • 신호중대
      • 특수화기중대
      • 지원중대
      • 보안중대
      • 군수중대
      • 시설소대
      • 공작소대
      • 의무대
      • 훈련대
    • 제1특수목적분견대(제1대대)
      • 제1특수목적중대
      • 제2특수목적중대
      • 제3특수목적중대
      • 군수중대
      • 통신중대
      • 보안소대
      • 지뢰매설단
      • 시설소대
      • 제1의무소대
    • 제790특수목적분견대(제2대대)
      • 제4특수목적중대
      • 제5특수목적중대
      • 제6특수목적중대
      • 군수중대
      • 통신중대
      • 보안소대
      • 지뢰매설단
      • 시설소대
      • 제2의무소대
    • 제791특수목적분견대(제3대대)
      • 제7특수목적중대
      • 제8특수목적중대
      • 제9특수목적중대
      • 군수중대
      • 통신중대
      • 보안소대
      • 지뢰매설단
      • 시설소대
      • 제3의무소대
  • 제24스페츠나츠여단
    • 여단본부
      • 신호중대
      • 특수화기중대
      • 군수재
    • 제281특수목적분견대
    • 제297특수목적분견대
    • 제641특수목적분견대
  • 타지키스탄 주둔군(제201군사기지)
    • 제201차량화소총병사단

사령관은 세르게이 라즈코프 중장이다.

2022년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중 제41제병연합군 부사령관인 안드레이 수호베츠키 소장이 전사했다.

2022년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중 제35근위차량화소총여단의 여단장, 제41제병연합군 부사령관 겸 참모총장인 비탈리 게라시모프 소장이 전사했다.

3.4. 동부 군구(Восточ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г)[편집]


시베리아 군구와 극동군구를 합쳐 생긴 군구.


3.4.1. 본부에서 직접 지휘하는 부대들(군 직할대)[편집]


  • 제104클루이본부여단(하바롭스크)[17]

  • 제106통신여단(달네레첸스크)

  • 제14독립근위바라노비치공병여단(뱌트카, 하바롭스크 지방)

  • 제17독립전자전여단(하바롭스크)

  • 제7독립붉은별철도여단(콤소몰스크)

  • 제50독립철도여단(스보보드니)

  • 제118독립철주교량철도대대(하바롭스크)

  • 제392차량화소총병 지역훈련센터(하바롭스크)

  • 제212근위전차병 훈련센터

  • 제51태평양함대훈련파견대(블라디보스토크)

  • 제7NCO지역훈련센터(크냐즈볼콘스코예, 하바롭스크 지방)

3.4.2. 제29제병연합군(치타)[편집]


  • 제101킹간본부여단(치타)

  • 제36독립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(보르자)

  • 제200포대여단(고니)

  • 제140방공포대여단(돔나, 자바이칼스키 크라이)

3.4.3. 제35제병연합군(벨로고르스크)[18][편집]



  • 제135독립NBC방어대대(하바롭스크)

  • 제37공병연대(베레조프카, 아무르 주)

  • 제38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64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(하바롭스크), 부차 학살을 저지른 여단.

원래 하바롭스크에 주둔하던 부대이며, T-80BVM 전차를 주력으로서 운용한다. 키이우 공세기간 동안 부차를 중심으로 작전을 펼쳤으며, 따라서 부차에서 벌어진 대량 학살에 가장 큰 책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부대이다.

제64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장: 중령 아자트베크 아산베코비치 오무르베코프



제64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 본부 위치(하바롭스크)

  • 제54C3여단(벨로고르스크)

  • 제69엄호여단(밥스토보, 유대인 자치주)

  • 제107로켓여단(비로비잔)


(제107로켓여단 위치)

  • 제165포대여단(벨로고르스크)

  • 제71대공미사일여단(스레드네벨라야, 아무르 주)


(제71대공미사일여단 본부 위치)

3.4.4. 제36제병연합군(울란우데)[편집]


  • 제5독립근위전차여단(울란우데)

  • 제37독립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(캬흐타)

  • 제103로켓여단(울란우데)


  • 제75C3여단(울란우데)

3.4.5. 제5제병연합군(우수리스크)[편집]


  • 제57차량화소총병여단(비킨)

  • 제60차량화소총병여단(시비르체보 및 리포프치)

  • 제8방공포대여단(라즈돌노예, 프리모르스키 크라이)

  • 제80C3여단(우수리스크)

  • 제81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(비킨)

  • 제127기관총포병사단(세그리브카)

  • 제16독립NBC방어여단(레소자보츠크)

  • 제20근위로켓여단

  • 제338근위MRL여단(노보시소예프카 / 로켓포 BM-27 우라칸)

  • 제305포대여단(우수리스크)

3.4.6. 제68군단(유즈노사할린스크)[편집]


1993년에 제51군으로부터 신설. 2010년 해체되었다가 2014년에 다시 재창설되었다. 현재 사령관은 드미트리 글루셴코프 소장.

  • 제137독립본부대대(유즈노사할린스크)

  • 제39독립차량화소총병여단(호무토보, 사할린)[19]

  • 제676독립공병대대(다크노예)

  • 제312독립다연장포병포대(다크노예)

  • 제18기관총포병사단(고랴치에 클류치, 사할린 주)

  • 제46기관총포병연대(라군노에)

  • 제49기관총포병연대

3.5. 북부 군구(Северный военный округ)[편집]


사령부는 무르만스크 주의 세베로모르스크에 위치해 있다.


3.5.1. 제14군단(무르만스크)[편집]


  • 제14군단 사령부(무르만스크)

  • 제58독립지휘대대

  • 제200차량화소총병여단

  • 제80북극함대차량화소총병여단

4. 육군 규모[편집]


러시아 육군은 2022년 기준으로 7개의 사단, 총 병력은 280,000명이다. 아래의 표는 육군 병력의 변화인데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가 러시아에도 크게 발생되고 있어서 증감이 아닌 병력의 '유지 상태' 이다.

러시아 육군 변화
년도사단수전력년도사단수전력
1992년1031,400,0001993년871,000,000
1994년74780,0001995년68~71650,000~670,000
1996년61~69460,0001997년48420,000
1998년33420,0001999년33348,000
2000년31348,0002001년34300,000
2005년32395,0002007년21395,000
2008년24395,0002009년21395,000
2012년2305,0002016년3240,000
2017년8270,0002018년8280,000
2019년8280,0002020년9280,000
2021년7280,0002022년불명불명
2023년

5. 장비[편집]



5.1. 기갑[편집]


파일:t90tank1240.jpg
파일:Russian_T-72B3.jpg
러시아 육군의 전차
이름종류개발 국가운용 수량비축손실기타
T-90주력 전차러시아400대200대87대+
T-80주력 전차소련450대3,000대639대+2세대/3세대 전차[20]
T-72주력 전차소련2,050대7,000대1,130대+2세대/3세대 전차[21]
T-62주력 전차소련150대[22]미상84대+2세대 전차
T-55주력 전차소련미상[23]미상2대+1세대 전차

파일:Ef9m-BxXYAEKtTa.jpg
파일:2013_Moscow_Victory_Day_Parade_BTR-82A.jpg
러시아 육군의 장갑차
이름종류개발 국가운용 수량비축손실기타
BMP-3IFV소련400[24]-271+[25]-
BMP-2IFV소련2,3501,500883+[26]-
BMP-1PIFV소련5002,500441+[27]-
BMD-4IFV소련289-74+[28]-
BMD-2IFV소련1,000-206+[29]공수용 경장갑차
BTR-D/MDMAPC소련808-92+[30]공수용 경수송차
BTR-80/80A/82A/82AMAPC러시아2,200-653+[31]1,152대의 BTR-80/A을 대체함.
BTR-70M1986/1APC소련2002,000--
BTR-60APC소련8002,000--
BTR-50APC소련대수 미상-재취역
BMO-TAPC소련----
MT-LB/LBVM/uAPC소련3,0502,000641+[32]-
BRDM-2정찰 장갑차소련1,000--
BRM-1K정찰 장갑차소련700---


6. 관련 문서[편집]



7. 둘러보기[편집]


[ 펼치기 · 접기 ]

상징국호 · 국기 · 국장 · 국가 · 쌍두독수리
역사역사 전반 · 루스 차르국 · 러시아 제국 · 러시아 공화국 · 소련 · 소련 붕괴 · 러시아 헌정위기
지리지역 구분() · 극동 연방관구(하위지역 · 야쿠츠크 · 베르호얀스크 · 오이먀콘 ·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) · 남부 연방관구(하위지역) · 볼가 연방관구(하위지역) · 북서 연방관구(하위지역) · 북캅카스 연방관구(하위지역) · 시베리아 연방관구(하위지역 · 노보시비르스크(하위지역)) · 우랄 연방관구(하위지역) · 도시 목록 · 모스크바 · 중앙 연방관구(하위지역) · 툰드라 · 라스푸티차 · 라도가 호 · 바이칼호 · 카라차이 호 · 한카호 · 돈 강 · 레나강 · 볼가강 · 아무르강 · 예니세이강 · 우랄강 · 우랄 산맥 · 스타노보이 산맥 · 옐브루스 · 나로드나야 산 · 시베리아 (시베리아 트랩) · 러시아 극동 · 유럽 러시아 · 북아시아 · 야말 반도 · 타이미르 반도 · 캄차카 반도 (코만도르스키예 제도) ·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· 브랑겔 섬 · 콜라 반도 · 축치 반도 · 크림 반도 · 사할린 · 쿠릴 열도 (쿠릴 열도 분쟁) · 세베르나야제믈랴 ·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· 마천루 · 초르노젬
문화문화 전반 · 레프 톨스토이 ·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·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· 모스크바 음악원 · 안톤 루빈시테인 · 표트르 차이콥스키 ·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·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·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·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· 니콜라이 메트네르 · 볼쇼이 극장 · 마린스키 극장 (마린스키 발레단) ·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·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· 러시아 정교회 · 러시아 영화 ·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· 러시아 민요 · 발랄라이카 · 요우힉코 · 미하일 글린카 · 러시아 5인조 ·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·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·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· 아람 하차투리안 ·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· 안톤 아렌스키 · 니콜라이 카푸스틴 · 알렉산드르 푸시킨 · 미하일 레르몬토프 · 니콜라이 고골 · 이반 투르게네프 · 안톤 체호프 ·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·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·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· 일리야 레핀 ·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· 엘 리시츠키 · 스트루가츠키 형제 · 관광 · 에르미타주 박물관 · 트레챠코프 미술관 · 러시아 박물관 · 세계 유산 · 오스탄키노 탑 · 우샨카 · 사라판 · 마트료시카 · 사모바르 · 빅토르 초이 · Hardbass
스포츠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· 러시아 축구 연합 ·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(FIFA 월드컵 ) ·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·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·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·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·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· 콘티넨탈 하키 리그(소속 구단) ·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· 삼보
언어언어 전반 · 러시아어 · 러시아어/문법 · 러시아어/발음 · Ё ё · 키릴 문자 · 노어노문학과 · 토르플 · 러시아어권
정치크렘린 · 정치 전반 · 행정조직 · 정부 · 대통령 · 러시아 대통령 선거 · 총리 · 연방의회(국가두마)
경제경제 전반 (모스크바증권거래소 · 스베르방크) · BRICS · 러시아 루블
외교외교 전반 · 여권 · 상임이사국 · G20 · 러미관계 · 미중러관계 · 한러관계(한러관계/2020년대) · 러일관계 · 한러일관계 · 러독관계 · 러시아-폴란드 관계 · 독일-러시아-폴란드 관계 · 러시아-우크라이나 관계 · 러시아-폴란드-우크라이나 관계 · 러시아-체코 관계 · 러시아-슬로바키아 관계 · 러시아 제국주의 · 러빠 · 친러 · 반러 · 혐러 · 신냉전 · 독립국가연합 · 집단안보 조약기구 ·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·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
사회슬라브 · 러시아인 · 사회 문제 · 고프닉 · ЕГЭ · 러시아 정부 장학금 · 레드 마피아
교통아에로플로트 · 공항 목록 · 고속도로 · 철도(철도 환경 ·도시철도 · 삽산 · 아에로익스프레스 · 바이칼-아무르 철도 · 시베리아 횡단철도 · 투르케스탄-시베리아 철도 · 환바이칼 철도) · 트롤례이부스 · 트로이카 · 금각교 · 루스키 대교 · 크림 대교 · 백해-발트해 운하 · 볼가-돈 운하 · 북극항로
러시아계러시아계 한국인 · 러시아계 프랑스인 · 러시아계 독일인 · 러시아계 영국인 ·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·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·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· 러시아계 핀란드인 ·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· 러시아계 폴란드인 · 러시아계 스페인인 · 러시아계 미국인 · 러시아계 캐나다인 · 러시아계 브라질인 ·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·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· 러시아계 중국인 ·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· 러시아계 일본인 · 러시아계 호주인
음식러시아 요리 · 보르시 · 비프 스트로가노프 · 샤슐릭 · 펠메니 · 피로시키 · 크바스 · 보드카 · 만주 요리
군사러시아 연방군 (소련군) · 육군 · 항공우주군(편제) · 해군 (발트 · 북방 · 태평양 · 흑해) · 전략로켓군 · 국가근위대 · 해외 주둔 러시아군 · GRU · 붉은 군대 합창단 ·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· 열병식 · 스페츠나츠 · 상하이 협력기구 · 아르미야
역사 · 편제 · 계급 · 징병제 · 병역법 ·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· 러시아 연방군/문제점
러시아군/장비 (소련군/장비) · 전투식량 · 라트니크 · 군복 · 모신나강 · 칼라시니코프 (AK-47 · AKM · AK-74 · AK-12 · AK-47 VS M16) · RPG-7 ·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· 설계국 · 핵가방 (소련의 핵개발) · 아르마타 · 타찬카 · Su-57
데도브시나 · 러시아군 vs 미군 · 러시아군 vs NATO
치안·사법러시아 국가경찰 · 러시아 연방교정청 · 흑돌고래 교도소 · 흰올빼미 교도소 · FSB
기타공휴일/러시아 · 러시아인 캐릭터 · 불곰국




파일:러시아 국기.svg 현대 러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
[ 펼치기 · 접기 ]

현대의 러시아군 보병장비
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모신나강
반자동소총SKS
돌격소총AKM, AKMS, AK-74, AK-74M, AK-74MR, AKS-74U, AK-12, AK-15, A-545, A-762, AN-94, MalyukC, C7A1C
저격소총SVD, SVDM, SV-98, T-5000, T-5000M, Tochnost, OSV-96, M95C, M98C
권총MP-443, MP-446, PL-15, GSh-18, PM, PMM, Fort-12C, Fort-17C
지원화기기관총RPK-74, RPK-74M, RPK-16, PKM, PKP, PKP-SP, NSV, Kord, KPV
유탄발사기GP-30, GP-34, DP-64, RG-6, AGS-30, AGS-40
대전차화기대전차 로켓RPG-7V2/V1/D, RPG-26, RPG-27, RPG-28, RPG-29, RPG-30, RPG-32, RPG-76C, RPO, M72 LAWC, PSRL-1C, PzF-3C, M141 BDMC, MATADORC
대전차 미사일9K111, 9M113, 9K115(115-1), 9K135, FGM-148C, MBT LAWC, MILANC
무반동총SPG-9, AT4C, 칼 구스타프 M4C
박격포2B9, 2B14, 2B25
맨패즈9K38 Igla, 9K338 Igla-S, 9K333, FIM-92C, PPZR GromC
수류탄RGD-5, RGO, RGN, M67C
지뢰PFM-1, POMZ, PTKM-1R
휴대용 무인기Orlan-10, KUB-BLA
특수전 화기소총돌격소총AS Val, OTs-14, AK-103, AK-104, AK-105, AK-107, MR556, M4A3, AS-15, ASh-12.7, SR-3, A-91, 9A-91, OTs-12, AM-17
저격소총VSS, SSG 08, HK417, G28, AWSM, VSSK, MTs-558, DVL-10, SVDK, SVLK-14S, KSVK, MTs-572, HS.50, AI AXC
특수소총ADS, APS
기관단총AEK-919K, SR-2, PP-93, PP-2000, PP-19, PP-19-01, OTs-02, PP-91, MP5, MP7A1, MP9
산탄총KS-23M, KS-23K, 18,5 KS-K, Vepr-12
권총PB, PSS, Glock 17, SR-1, APS, OTs-23, OTs-33, OTs-38, SPP-1
기관총AEK-999, GShG-7.62, PM M1910
유탄발사기GM-94, RGS-50
냉병기도검6Kh2, 6Kh3, 6Kh4, 6Kh5, 6Kh9(9-1), NRS-2
C: 노획 장비






파일:러시아 국기.svg 현대 러시아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
[ 펼치기 · 접기 ]

러시아 연방군 (1992~현재)
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
기타전차경전차PT-76(B)R, AMX-10RCC
중형전차T-34-85MC
중전차T-10MR
퍼레이드용 차량T-2597 «Шин-Хо-То Чи-Ха»C/R, T-34 (1941)R, T-34 (1942)R, T-34-85R, T-34-85MR, T-34-85CZR, MK-IIIR, SU-76MR, SU-85R, SU-100R, ISU-152R, ISU-122R, 윌리스 MBR, BA-64R, BA-6R, TIZ-AM-600R, T-20R, T-26RTR, KhT-26R, T-38R, T-60R, T-28R, T-35R, MS-1R, BM-13R
MBT
서방식 분류
1세대T-54(AM/M)RC, T-55(AD · AM · AMV)RC
2세대T-62(M · MV)RC, T-64(A/B · B1 · BV · BMC), T-72(우랄/ARC · M1C · B · BA), T-80(BRC · BV · BVM)
3세대T-80(U · UDRC · UK · UM2D · BVM) , T-72(B3(M)), T-90(A · S)
3.5세대T-90M, T-14
장갑차차륜장갑차BDRM-2/2RkhbRC, BTR-60RC, BTR-70RC, BTR-82AM/82A1, BTR-82A, BTR-90S,
BTR-4C, BPM-97, AMN-590951, {K-16 부메랑 BTR}, {K-17 부메랑 BMP}, Z-STS
궤도장갑차MT-LB, BMD-2, BMD-3, BMD-4, BMP-1S(M · AMㆍUC), BRM-1(K)/Obr. 2021, BMP-2(M), BMP-3, BMPT, BMO-T, {T-15},
{쿠르가네츠-25(BMP · BTR)}, {BMMP}, PTS-2, PTS-3, DT-30, BTR-50RC, YPR-765C, M113C, CV90C
차량소형UAZ-469, GAZ-2975 티그르, GAZ-2330 티그르, 이베코 LMV, VBL, UAZ-3132, UAZ-3163, 타루스2x2, A-1, TTM-1901-40, K-4386 타이푼-VDV, M1224 MaxxProC, M-ATVC, HMV 하야테, 플라스툰-SN
트럭GAZ-51, GAZ-63, GAZ-66, GAZ-33097, MAZ-7310, MAZ-6317C/R, 우랄-4320, 우랄-5323, KamAZ-4326, KamAZ-4350/5350/6350, KamAZ-65225, KamAZ 타이푼, BAZ-6906
자주포자주곡사포2S1 그보즈디카, 2S3 아카치야, A-222 베레크, 2S19 무스타-S, 2S35 칼리챠-SV, 2S43 말바
자주평사포2S5 기아친트-S, 2S7 피온
자주박격포2S4 튤판, 2S9 노나-S, 2S23 노나-SVK, 2S31 베나, 2S34 호스타, 2S40 플록스, 2S41 드로크, 2S42 로토스
대전차 자주포2S25(M)
대공 차량자주대공포ZSU-23-4(M4 · M5) 쉴카, 2S6(M1) 퉁구스카, 판치르-S1, 소스나-R , {2S38 데리바치야-PVO}
단거리 대공미사일2K22(M1) 퉁구스카, 판치르-S1, 9K331 토르-M1, 9K33(M3 · AKM) 오사, 9K35(M3 · MN) 스트렐라-10
중장거리 지대공미사일2K11 크루그R, 9K37 부크
다연장로켓BM-21 그라드, BM-27(M1) 우라간, BM-30 스메르치, 9A52-4 토네이도, TOS-1A 솔른체푝, TOS-2 토소치카, 체부라시카
※ 윗첨자R: 퇴역 및 의장용 차량
※ 윗첨자S: 비축 차량
※ 윗첨자C: 노획 차량
※ 윗첨자RC: 재취역 차량
※ 윗첨자D: 전량 손실
취소선: 개발 및 도입 중 취소된 차량
※ {중괄호}: 도입 예정 차량


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25 09:03:46에 나무위키 러시아 육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수하푸트느예 보이스카 라시이스코이 페데라치이. 구 소련군은 자기들을 군대와 함대로 구분했기 때문에 육군을 Армия라고 표기했으나, 현재는 '지상군'으로 변경하였다.[2] 모스크바주에 위치한 도시로, 모스크바에서 서쪽으로 24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[3] 러시아 로스토프주에 위치한 도시로, 인구는 170,822명이다. 로스토프나도누에서 북동쪽으로 약 30km 정도 떨어져 있고 투즐로프 강 우안과 악사이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.[4] 아무르 주 벨로고르스키 군의 중심지이다. 인구는 6만 7400명이다. 톰 강이 흘러가는 지점에 위치해 있고, 108km지점에 블라고베셴스크가 위치해 있다.[진] 2019년 2월 22일 대장으로 진급했다. [5] 기관총-포병부대는 대전차포와 해안포 등을 운용하는 방어전용 화력지원 부대이다.[6] 전술 탄도 미사일 운용 임무[7] 원래는 제33독립차량화소총병사단이었으나, 감축으로 인해 여단으로 격하되며 번호도 바뀌었다.[8] 유즈노사할린스크 시의 공항동이다.[9] 유즈노 사할린스크 시 남쪽 사할린 오블래스트의 해안 근처 시골마을이다.[10] 부대구성은 유즈노사할린스크의 제137독립본부대대, 제39독립차량화소총병여단[7](유즈노사할린스크시 코무토보[8]), 제312독립다연장포대, 제676독립공병대대(다치노예[9]), 제18기관총포병사단(고랴치예 클류치, 사할린 동부 연안 근처 시골 소도시이다.)로 되어있다.[11] 모스크바주에 위치한 도시로, 모스크바에서 서쪽으로 24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[12] 2022 우크라이나 전쟁중 제4근위전차사단의 제13근위전차연대 사령관이 극단적 선택을 하였다.https://m.dcinside.com/board/war/2503881[13] 러시아 로스토프주에 위치한 도시로, 인구는 170,822명이다. 로스토프나도누에서 북동쪽으로 약 30km 정도 떨어져 있고 투즐로프 강 우안과 악사이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.[14] 2022년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중 제150차량화소총사단장 겸 사령관인 올렉 미탸예프 소장이 전사했다.(1974~2022. 3. 15)(Major General Oleg Mityaev †) 제 150차량화소총사단은 러시아 대조국전쟁의 승리 상징으로 여겨지는 부대이며, 베를린 국회의사당에 소련 깃발을 올린 부대다. 상징성이 있어서 러시아 대독승전기념일(전승기념일) 5월 12일에 붉은광장에서 기수단이 러시아 국기와 150사단의 깃발(전승기)을 들고 입장한다.[15] 2022년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중 마리우폴에서 지속된 전투로 인해 러시아군 제20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 예하 제33차량화소총병연대의 모든 대대전술단이 전투불능 상태이며, 사망자만 600명 이상에 연대장 겸 여단 참모장인 유리 아가코프 (Lieutenant Colonel Yuri Agarkov †) 중령이 전사했다는 추측이 나돌고 있다.#[16] 독소전쟁부터 활동해 적기훈장, 수보로프 훈장, 쿠투조프 훈장,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을 받은 부대이며, 2022년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군공으로 주코프 훈장을 받았다.[17] 하바롭스크 주둔지 명예 경비중대(1971.12.14일 창설, 현재 사령관은 드미트리 질린스키 중령)[18] 아무르 주 벨로고르스키 군의 중심지이다. 인구는 6만 7400명이다. 톰 강이 흘러가는 지점에 위치해 있고, 108km지점에 블라고베셴스크가 위치해 있다.[19] 제33사단에서 군축되어 나온 여단이다.[20] 170대가 T-80BVM으로 개량되었고 추가로 50대의 T-80BVM이 해병대에 운용중[21] 1,380대가 T-72B3/T-72B3M으로 개량 [22] 2015년 이후 전량 비축물자로 지정하여 보존상태에 들어갔으나,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800대를 재배치중에 있다.[23] 2010년 이후 전량 비축물자로 지정하여 보존상태에 들어갔으나,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일부를 재생하여 재배치중에 있다.[24] 해병대에 BMP-3 40대와 BMP-3F 40대가 있다.[25] 현재 최소 271대 손실[26] 현재까지 최소 883대를 손실되었고 BMP-1과 BMP-2가 확인이 어려운 손실이 125대이다.[27] 현재까지 최소 441대 손실[28] 현재까지 최소 74대 손실[29] 현재까지 최소 207대 손실[30] 현재까지 최소 92대 손실[31] 현재 최소 641대 손실[32] 현재 최소 641대 손실